본문 바로가기

연세신경정신과의원!!

최선을 다해 함께 하겠습니다!
자료실

애착의 신경 생물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세신경정신과의원 작성일16-12-14 12:27 조회2,475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애착의 신경생물학
                                                      NEUROBIOLOGY OF ATTACHMENT
                                                                                                     신의진*†·홍현주**·오태성***
                                   Yee-Jin Shin, M.D., Ph.D.,*† Hyun Ju Hong, M.D.,** Tae Sung Oh, M.D.*** 

요 약:섭생, 수면, 활동과 같이 생존에 필수 요소 뿐 아니라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타인과의 애착관계 역시 몹
시 중요하다. 사회적 애착(social attachment)은 인간에게 중요하기도 하지만 연구하기가 힘든 분야 중 하나이다. 이
분야의 선도적 연구자인 Harry Harlow는 부모-자녀, 친구, 부부관계의 세 가지의 다른 애착 행동체계가 존재한다
고 보았다. 이러한 행동 패턴에는 여러 가지 감각 기관, 복잡한 운동반응, 그리고 기억, 사회적 인지, 동기 등의 인지과
정이 포함된다. 또한 John Bowlby는 부모-자녀간의 초기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정신과 영역에서 강조하였다.
사회적 애착에 관련된 신경학적 구조, 기능에 대한 연구는 주로 포유류가 아닌 동물들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나,
최근에는 원숭이에 대한 약리학적 연구와 인간의 뇌영상 연구 결과들이 이 분야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첨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애착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이론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자 하며, 크게 1) 유아-부모 애착, 부모-유아
애착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연구 분야, 2) 애착에 대한 동물 실험 연구, 3) 애착관계의 심각한 단절이 발생하는 maltreatment/
deprivation 상태에서 인간에게 어떠한 행동적, 신경생물학적 변화가 초래되는지에 대한 세 분야로 나누
어 기술하고자 한다. 아직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임상적 측면과 직접적 관련을 짓기는 한계가 있으나, 향후 사회적
애착관계의 문제가 심각한 정신병리를 연구하고 치료하는 분야에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중심 단어:애착·신경생물학. 

서 론 

 인간의 생존에 꼭 필요한 요소인 섭생, 수면, 활동 이외에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타인과의 애착관계, 역시 몹시 중요하다.

사회적 애착(social attachment)은 인간에게 중요하기도 하지만 연구하기가 힘든 분야 중 하나이다. Harry Harlow1)는 이 분야의 선도 연구자로서 부모-자녀, 친구, 부부관계의 세 가지의 다른 행동체계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행동 패턴에는 여러 가지 감각 기관, 복잡한 운동반응,그리고 기억, 사회적 인지, 동기 등의 인지과정이 포함된다.
사회적 애착에 관련된 신경학적 구조, 기능에 대한 연구는 주로 포유류가 아닌 동물들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나,최근에는 원숭이에 대한 약리학적 연구와 인간에서는 뇌영상 연구를 통해 새로운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2-4).
본 고에서는 애착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이론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자 하며, 크게 1) 유아-부모 애착, 부모-유아애착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연구 분야, 2) 애착에 대한 동물실험 연구, 3) 애착관계의 심각한 단절이 발생하는 maltreatment/deprivation 상태에서 인간에게 어떠한 행동적, 신경생물학적 변화가 초래되는지에 대한 세 분야로 나누어 기술하고자 한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Seoul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Anyang
***국민건강 보험공단 일산병원 신경정신과 NHIC ILSAN Hospital,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Ilsan
†교신저자:신의진, 120-752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134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신저자:전화:(02) 361-5470, 5472·전송:(02) 313-0891·E-mail:yjshin@yumc.yonsei.ac.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공지] 비급여 항목및 심리검사비용 …
[공지] 대리처방 안내
[공지] 각종 서류 발급 안내
[공지] 주요 검사 안내
[공지] 초진 진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