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세신경정신과의원!!

최선을 다해 함께 하겠습니다!
자료실

우울증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세신경정신과의원 작성일17-02-06 11:12 조회2,266회 댓글0건

본문

​​

우울증의 이해: 진화론적 관점과 동물행동학적 관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 교실 오 태성 

우울증의 일반적인 양상 :

 

1. 기분이 쳐진다, 기운이 없다, 비관적인 생각을 한다, 불면, 식욕저하(혹은 폭식과 체중증가),전반적인 활동도의 감소(psychomotor retardation),초조증상( psychomotor agitation), 집중력감소, 우울성 혼수(depressive stupor), 함구증(mutism),건강염려증

 

2. 일반적인 슬픔보다 더 강하고, 광범위하고, 더 지속적이다.

 

3. 무가치함, 죄책감, 무기력감 등의 비관적인 사고(아침에 심하고 오후로 갈 수록 덜해진다)를 동반한다.

 

4. 생물학적인 증상( 불면 혹은 과다수면, 식욕저하, 변비, 무월경증, 성욕감퇴)을 동반한다.

 

5.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우울증의 경우:

자신이 심각한 병( , 에이즈 등)에 걸렸다, 죄를 지었다는 망상이 나타나거나 환청( 주로 자기비난)이 나타나기도 한다.

 

                                                 우울증의 진화론적 관점

 

1. 자원의 획득과 이를 통한 생명의 연장(자손의 번성)은 생물체가 가지는 본능적인 욕구이다. 만약 이 목표의 달성이 어렵다고 판단이 될때 생물체는 본능적으로 움직임을 멈추고 자신이 가진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방향으로 움직인다(Nesse and Williams, 1995)

 

2. 인류가 가지는 위의 근본적인 욕구는 1) 정서적인 유대형성(affectional bond ), 2) 사회적인 지위( social rank or status)를 통하여 실현되어 진다.

 

3. 만약 위의 두가지 요소가 성취되지 않을때 인간은 두가지 다른 종류의 우울을 경험하는데 하나는 deprivation depression( 박탈 우울증)defeat depression( 패배 우울증)을 경험한다. ( Beck, 1983)

 

Deprivation depression(박탈 우울)

 

친밀도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은 이것이 좌절될때 우울감을 느낀다.

 

Defeat depression( 패배 우울)

 

자율성과 자기 실현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은 자신이 경쟁에서 좌절될때 우울감을 느낀다.

 

                                                                     애착이론  

 

 

정서적인 유대감과 사회적인 지위에 대한 인식은 어린시절 부모와 자식간의 애착관계를 통해서 형성된다.

 

애착( attachment, affectional bond)은 아이와 부모사이의 정서적인

유대를 말하는데 이는 쉽게 표현해서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뜻하고, 친밀하며, 지속되는 관계를 의지할 수있는 애착대상과 맺는 것이야 말로 인간 행복과 안전감의 기본이 된다고 할 수가 있다.

이를 통해서 아이는 자신이 사랑을 받을 가치가 있고 사랑을 할 수있다는 자신에 대한 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어린시절 애착의 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자신에 대한 내적인 이미지는 성인기에까지 지속이 되며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스타일에 영향을 주어 부인, 아이들, 친구, 동료들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준다.

 

만약 어린시절 양육에서 안정적인 애착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경우에 이는 아이에게 앞으로 다가올 상실이나 거절에 대해서 부적응적인 예민성을 갖게 한다.

우울증상이 병적이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사람들은 불충분한 양육으로인해서 상실이 일어났을때 성숙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잘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 남편이 부인을 버린경우, 자신은 사람받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내적인 자기 이미지를 이미 형성한 여자라면, 살아가야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하고 자기 비난이 일반적인 우울상태보다 더 길 것이다.

   이에  대한 지지적 증거로는 우울증이 걸리기 쉬운 사람들은 대대분 어린시절 부모의 사랑을 받은 기억이 별로 없는 사람들 이었다.( Pfohl , 1983)

 

                                  RANK 이론 (지위 이론)

 

지위이론은 우울상태는 복종상태및 자원을 상실한 것에 적응하고 이를 받아들이기 위한 적응적인 반응이라는 관점이다.

 

이 경우 우울상태는 패배자로 하여금 잃어버린 위치에 대한 갈등을 피해서 더 큰상처를 받지 않도록 해주며 그룹 내에서 균형을 유지하게 해준다. 이런 상태에서는 스스로 에너지를 잃게하고 움직임을 둔화시키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래서 자신을 보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계급차이를 인정하고 집단내에서 생활함으로써 외부 포식자로부터 보호를 받고 집단내에서 음식과, 영역, 배우자 등을 보장받게 된다.

 

                                          자기 효능감(self efficacy)과 우울증

 

인간은 아기때부터 부모와 반응을 주고 받으며 성장하게 된다. 아이는 자신의 생리적인 욕구에 반응을 보여주는 부모를 보며자신이 외부세계에 영향(effect)를 줄 수 있음을 알게 되고 기쁨을 느끼며 이 것을 반복숙달 (mastery)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아이는 부모와 자기가 한몸(selfobject)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이런 전지전능한 느낌은 부모의 반응이 항상 아이의 욕구에 맞추어지지 않으며 아이의 발달에 따라 주변을 탐색하며 부모와 잠시 떨어져 있기도 하는 등 아이의 독립성의 요구가 커지면서 아이는 부모와 자기가 별개의 존재라는 것을 조금씩 알아가게 된다.

 

아이는 분리 개별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과 외부가 분리된 세계라는 것을 인지하며 부모의 이미지를 형상화, 내재화를 하게 되는데 이는 만 2세를 지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아이의 머리속에 각인된 부모의 이미지는 아이가 부모와 떨어져 있더라도 아이를 달래주고 보호하는 이미지로 남아있게 된다.

 

만약 부모의 일관되지 않거나 아이의 정서적인 상태에 대한 반응이 없거나 공감결여(empathic deficit)의 경험이 일찍 시작된 경우는 아이로 하여금 나이가 들어서도 끊임없이 정서적인 유대를 연결하는 끈을 외부에서 찾는 시도를 하게하고 그 내적인 공허감, 우울감은 해결이 되지않고 평생을 지속되기도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공지] 비급여 항목및 심리검사비용 …
[공지] 대리처방 안내
[공지] 각종 서류 발급 안내
[공지] 주요 검사 안내
[공지] 초진 진료 안내